유럽 항공화물 시장의 판도가 변화 중. 프랑크푸르트와 암스테르담 스키폴 등 전통적인 메이저 허브 공항들이 화물 취급실적이 정체되거나 하락세를 보이는 가운데, 벨기에의 리에주 공항(LGG)은 올해 들어 두 자릿수 성장세를 기록, 새로운 중심축으로 급부상.
리에주 공항은 올해 2분기 동안 총 33만184톤의 화물을 처리해 전년동기비 14.5% 증가. 이 기간 항공편 수는 7,120편을 기록.
상반기 전체로는 총 62만6,690톤을 처리하며 전년 동기 대비 10% 성장, 글로벌 항공화물 용량 데이터베이스인 Rotate에 따르면, 리에주 공항의 연초 대비 공급 용량도 지난해보다 8% 증가한 것으로 나타냄.
리에주 공항측은 “2분기에도 리에주는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갔으며, 향후 전망도 긍정적"이라고 밝히며, 특히 ‘화물 전용 공항’이라는 리에주의 고유한 운영 모델과 신규 브랜드인 ‘카고랜드 (Cargoland)’ 도입, 공격적 영업 전략이 상승세의 핵심 요인이라고 설명.
리에주 공항은 중국 본토 및 홍콩 노선의 지속적인 강세에 더해, 유럽 내 수출 및 내륙 노선 전반에서 고른 성장세를 보였다는 점도 주목.
최근 미국의 디미니미스(De Minimis) 제도 폐지 움직임에 따라 일부 전자상거래 화물이 미국 대신 유럽으로 우회된 것도 리에주의 물동량 증가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 실제로 리에주공항은 전자상거래 부문에서 상반기 내내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으며, 특히 5월 들어 더욱 뚜렷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확인.
리스크 요인으로 지적되는 미 달러화 약세,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불안, 글로벌 무역 환경의 불확실성 등 여러 외부 변수에도 불구하고, 리에주 공항은 “미국과의 무역 흐름을 포함해 전반적인 화물 수요에서 약세 조짐은 없다”며 강한 자신감을 드러냈으며, 실제로 리에주-미국 간 수입·수출 물동량은 상반기 기준 전년 대비 34.5% 증가한 것으로 나타냄.
특히 리에주는 전자상거래뿐 아니라 의약품, 신선식품, 특송화물 등 다양한 고부가가치 화물군을 유치하면서 물류기업과 항공사들의 주목 받음.
리에주 공항 측은 올해 전체 화물 물동량도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으며, 4분기에 특히 강한 실적이 기대.
2) Aevean - 글로벌 항공화물 시장 데이터의 판도를 바꾸다
에이비안은 최근 발표한 제품 포트폴리오 요약 보고서를 통해 화물 수용능력, 항공기 기단 정보, 항공무역, 전자상거래 데이터 등 4대 핵심 영역에서 업계 최고 수준의 실시간 분석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고 밝힘.
에이비안의 ‘Fleet Capacity Database’는 글로벌 항공사들의 실제 기단 현황과 신규 주문을 분석해 향후 화물 수용능력의 변화를 예측.
2024년 항공화물 신규 공급량은 2019년 대비 약 60% 감소, 이는 팬데믹 이후 항공사들이 와이드바디보다는 내로우바디 여객기에 집중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
흥미로운 점은 중동 항공사들이 현재 운용 중인 화물기 규모만큼의 수송력을 신규로 주문한 상태라는 점. 이는 향후 중동 지역의 항공화물 공급 주도권 강화를 시사.
Air Trade Database’는 국가 간 항공무역 데이터를 월 단위로 제공하며, 미국과 중국·베트남 간 IT제품 수입 추이에서 중요한 인사이트를 제시.
2025년 3~4월 미국의 베트남산 노트북 항공수입은 전년 대비 8,000톤 이상 증가했으며, 이는 하루 1.5대 이상의 와이드바디 화물기 추가 투입이 필요한 수치, 반면 전체 노트북·스마트폰 항공 수입량은 전년 대비 70% 급감해 제품·공급처 간 양극화가 진행 중임을 보여줌.
또한 ‘E-commerce Database’는 HS 코드 기준으로 국가 간 이커머스 항공물동량을 분석하는 도구로, 특히 중국발 저가 이커머스 항공화물이 2021~2024년 사이 연평균 38%의 증가율을 기록하며 2024년 기준 미-중 항공무역 물량의 55%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남.
3) 하반기 항공화물 시장 전망 여전히 불확실 – 미.중 노선 수요 감소 회복 미지수
미중 간 관세 인상과 디미니미스(소액면세) 제도 변화 여파로 항공화물 시장의 하반기 전망에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음.
특히 주요 시장인 중국-미국 간 화물 수요가 급감한 가운데, 다른 노선을 중심으로 한 물류 다변화 시도가 진행 중이지만,
연말까지 지속적인 수요 회복세를 유지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
지난 7월 10일 개최된 Freightos의 웨비나 ‘글로벌 물류 및 무역전쟁 전망(Global Freight and Trade War Outlook)’에서 “5월 기준 미중 노선의 항공화물 물동량은 전년 동월 대비 11%, 전월 대비 12% 감소했다”며 “관세와 디미니미스 제도 개편의 직접적인 영향”이라고 설명.
반면, 타 노선에서는 전자상거래 화주들의 대체 운송 루트 확보 움직임에 따라 일정 수준의 물동량 증가세. 레빈은 “중국발 플랫폼들이 미국 외 지역으로 시장을 다변화하면서 아시아-유럽, 대만, 베트남 등 다른 노선에서 성장이 관측됐다”며 “전체 글로벌 항공화물 물동량은 5월까지 전년 동기 대비 3% 증가한 상태”라고 밝힘.
특히 최근 IATA가 발표한 ‘2025년 항공화물 시장은 2024년 수준에 머물 것’이라는 전망과 관련해 레빈은 “연간 물동량 흐름은 하반기에 얼마나 시장이 새로운 공급망에 적응하고 중국-미국 외 노선에서 수요를 이끌어내느냐에 달려 있다”고 언급.
한편, 관세 부과 시점이 8월로 연기되면서 많은 화주들이 사전에 물량을 선적한 만큼, 해당 정책이 단기적으로는 항공화물 수요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
공급 측면에서도 변동이 감지, 프레이토스에 따르면 트랜스퍼시픽 노선의 와이드바디 화물기 공급은 전월 평균 대비 약 13% 감소. 이에 따라일부 화물기는 대만, 베트남, 아시아-유럽 노선 등으로 전환 배치되고 있으며, 아시아-유럽 노선의 공급은 지난달 18% 증가한 것으로 나타냄.
결국, 미중 무역전쟁 여파로 항공화물 시장의 중심축이 흔들리고 있는 가운데, 물류 기업들은 노선 다변화와 공급망 재구성에 집중.
문제는 최근 이커머스 수요 이탈로 인해 항공화물 시장은 글로벌 공급능력이 수요를 초과하고 있는 상황인 것은 확실.
하반기 항공화물 시장은 전자상거래 수요 회복과 글로벌 무역 정책 변화에 따라 크게 출렁일 수 있는 만큼, 업계는 여전히 예의 주시 중.
4) 대한항공 - 하반기 신규 항공기 9대 인도
대한항공이 하반기에 9기의 신규 항공기를 인도받을 것으로 예상
대한항공이 NDR(논 딜 로드쇼·기업설명회)에서 이같이 언급했다고 18일 밝혔다. B787 등 중형기를 중심으로 올해 항공기 23대를 확보로 알려짐. 지난해 조원태 대한항공 회장은 보잉과 약 30조원 규모 계약을 체결하며 B787-10 30대(예비 발주 10대 포함)를 구매하기로 한 바 있음.
대한항공은 2024년 말 92기에서 올해 6월 말 90기로 보유 중대형기가 줄었는데, 소형기는 같은 기간 47기에서 48기로 증가. 화물기까지 합치면 같은 기간 162기에서 161기로 소폭 줄음.
반면, 중대형기인 B787-10은 2024년 말 5기에서 올해 6월 말 9기로 증가. 같은 기간 B747-8i는 7기에서 5기, B777는 36기에서 34기로 감소. A330은 같은 기간 22기에서 19기로 감소
대한항공의 자체 엔진 수리 역량은 연 100대 수준, 2027년 영종도 엔진정비 클러스터 구축이 완료되면 연 360대 이상으로 대폭 확대가 예상.이에 "계열사 기단 외 연 100대 이상의 non-Captive(논캡티브, 비계열사) 엔진정비 수행실적 발생이 예상. B787, A350 엔진 정비 자체 수행을 통해 정비비 절감, 기재 운영 효율화가 기대. 지난해 RR Trent XWB 엔진 관련 자체정비권한도 획득했다"며 "아시아나항공의 인천공항 T2 이전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