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주차 항공사업본부 주간사항 전달드립니다
1. 항공화물 General
1) 3년 간 진행되었던 대한항공·아시아나 합병 최대 난관 넘었다
출범할 것으로 보임.
2) 중국 전자상거래 물량 증가로 항공 운임도 상승
Ø 홍콩발 미주행 14%, 유럽행은 9.7% 상승
유럽노선 도 9.7% 오른 4.26달러/kg를 각각 보임.
이에 따른 항공사들의 평균 적재율도 59%. 보임..
3) 2023년 들어 中 외국인 직접투자(FDI)가 감소한 원인은?
Ø 작년의 역기저효과, 세계 경기 둔화로 감소세로 전환
Ø 선진국의 리쇼어링 전략, 중국 내 사업환경 변화 등 영향
2014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감소. 올해 1~9월 중국의 누적 FDI는 920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8.4% 감소.
작년 11월(△33.1%)의 최대 감소폭을 경신했다. 월간 FDI 규모를 살펴보면 지난 3분기 월별 600억~800억 위안 수준으로 위축된 상황. 중국 상무부가 공식적인 통보 없이
FDI 월간 수치나 달러화 통계를 발표하지 않으면서 중국 외자 유치 실적 악화, 나아가 중국 경기둔화 심화에 대한 우려.
1. 역기저효과
FDI는 안정적 성장세를 유지. 2020년 코로나 여파로 중국 경제성장률(2.2%)이 2%대로 떨어졌음에도 외국인 직접투자는 전년 대비 6.2% 증가하며 1조 위안을 기록.
2021년은 중국 경제가 빠른 회복세를 타면서 FDI가 두 자릿수의 성장세. 2022년 중국 내 코로나 재확산 및 주요 도시 봉쇄가 중국 경기 하방 압력을 증대.
2. 세계 경제 회복 둔화
세계 GDP에서의 외국인 투자 비중은 2005년 이후 최저 수준으로 둔화라고 강조.. 올 1분기 세계 외국인 투자가 전년 동기 대비 25% 감소.
3. 리쇼어링·니어쇼어링 전략
그린필드 투자(Green field Investment) 유입액은 전년 대비 71.3%의 신장세를 보이며 1639억 달러를 기록. 미국 무역경쟁이 시작된 2018년의 약 2배 수준이다. 대중 투자가 소폭 감소한
데 반해 멕시코, 인도향 투자 증가. 올 상반기 미국의 대외투자가 전년 동기 대비 14억 달러 감소한 가운데 대중(홍콩 포함) 투자는 4000만 달러 감소했지만 인도와 멕시코에 대한
직접투자는 1억4000만 달러 증가
4) 에어프레미아 "화물 사업 전체 매출의 10%로 성장 à 사업 확대 방안 검토 중"
특히 순화물 수송량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올해 1월 순화물은 929톤을 수송했으나, 9월에는 1806톤을 수송하며 2배 가까운 성장 보임.
업체를 통해 안정적인 공급망을 확보하는 것은 물론, 차세대 항공화물시스템인 아이카고(i-Cargo)를 도입해 미주와 유럽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화물사업에 주력.
다양한 방식으로 전세계 화물 항공망 구축에 최선의 노력을 기울인다는 계획.
5) 항공사/GSA Event update
(1) KOREAN AIR(KE) A321neo 20대 추가 주문 계약 체결 발표 외
A321neo 20대와 더불어 B787-9 10대, B787-10 20대, B737-8 30대 등 총 110대 신형기 도입 계획
복항 ICNDMK 2W(D36) KE677 2005/0015 B789, 2024년 1/3~ 2/24 *2006년 9월부 운휴
신설 ICNRMQ 3W(D246) KE189 1730/1940 B737, 12/10일부 한달간 운항
증편 ICNJKT 9Wà11W 24년 1/24일부 , A333
(2) FEDEX EXPRESS 베트남 서비스 출시
새 항공기 도입으로 베트남과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태평양,중동, 아프리카(AMEA) 및 유럽 시장을 연결하는 대륙간 서비스 강화.
10월 31일부터 운항 시작, 호치민에서 출발해 중국 광저우의 페덱스 아시아 태평양 허브를 거쳐 아시아와 유럽을 연결하는 주4회 저녁 항공편으로 B767화물기 투입.
(3) ASIANA AIRLINES (OZ) 내년 1월 부로 인천-하네다 노선 운항 재개
내년 1월 1일부로 하네다 DAILY 노선 운항 재개할 예정, 도쿄 노선 하루 총 4편으로 증편 A321neo.
(4) TWAY AIR(TW) 11월 30일 부로 인천-선양 노선 운항 예정
선양 노선 운항으로 총 6개의 중국 국제선 노선 운항
내년 3월 부로 우한 노선 재개 및 베이징 노선 첫 편 취항해 동북아 노선 회복 및 확대 계획
(5) AIR ASTANA(KC) 기종 다운그레이드 : ICN/ALA KC910 DAILY 1140/1550 A321, 11/7~12/3
(6) AIR INDIA(AI) 홍콩 GSA TAM그룹 선정
에어인디아 홍콩 화물 및 여객 판매 시작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