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tangle

세상을 움직이는 물류의 힘!
바로 엑스트란스의 힘입니다.

엑스트란스 - 항공 물류 업데이트 - 45주차 블로그

항공화물 General  

1)  유럽노선 모두 띄운 티웨이항공 – 탑승율 평균 85% 로 ‘선방평가

 

  • 티웨이항공 이 주요 유럽 노선 4개의 평균 탑승률이 80%를 넘으면서 일단 손익분기점은 넘어선 것으로 나타남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기업결합 승인 요건으로 유럽 주요 노선 성공적인 이관을 내걸었던 만큼 양사 합병에도 청신호라는 분석.
  • 티웨이항공의 유럽노선 탑승률은 84.5%로 조사.   지난 88일부터 이달 24일까지 티웨이항공의 로마 · 바르셀로나 · 파리 · 프랑크푸르트 노선의 전체 공급좌석은 46494석이며이 가운데 39287석에 여객이 탑승했다는 얘기통상 손익분기점을 80%평균 탑승률로는 손익분기점을 넘어 순항하고 있는 것으로 보임.
  • 세부 노선별로는 다소 차이가 있음. 지난 8월8일 취항한 인천~로마 노선의 경우 탑승률이 92.5%로 가장 높음. 같은 달 28일 운항을 시작한 인천~파리 노선의 탑승률은 81.9%로 간신히 손익분기점을 넘음. 하지만 인천~바르셀로나, 인천~프랑크푸르트 노선 탑승률은 각각 79.9%, 76.9%에 그침.
  • 로마·바르셀로나·파리·프랑크푸르트 노선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기업결합의 핵심 요건이기도 하다. EC가 대한항공의 유럽 노선 독점을 우려하자 대한항공이 이 노선들을 이관하고 승무원과 항공기를 지원하기로 한 것도 이같은 맥락임.  EC는 양사 결합 최종 승인을 내릴 때 티웨이의 유럽 노선 안착 여부도 주시할 것으로 보임. 미국 법무부(DOJ)가 대한항공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으면서 사실상 양사 결합을 승인했다는 반응이 나오는 만큼 4년에 걸친 합병 과정의 마지막 퍼즐이 될 수 있다는 것다.
  • 항공업계 관계자는 "대한항공이 아시아나항공 화물 사업부도 매각하는 등 대부분 선결과제를 이행했다"며 "티웨이 항공의 유럽 노선 운항이 안착하면 더 이상 승인을 미룰 여지가 없을 것"이라고 내다봄.

 

2)  글로벌 경기 둔화 전망 불구아시아발 제조업 성장은 지속

  • 아시아 태평양 화물 시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중국 국경절 연휴 직후부터 시작된 항공화물 성수기와 전자상거래의 성장은 새로운 전자제품 출시와 맞물려 운임을 끌어올리고 있다고 언급함.
  • 특히 아시아 역내 주요 항공노선의 공급량은 제한적이며, 항공사들은 높은 수익을 노리고 장거리 노선에 더 많은 화물공급을 할당하고 있어 다가 올 11월이 성수기 중 가장 바쁜달이 될 것으로 전망함.
  • 이에 따라 물론 대다수 중국시장에서 활동 중인 포워더들은 미국 및 유럽행 화물 수요가 상승하면서일부공항에서는 이미 혼잡이 발생하고있으며예약을 적어도 일주일전에 완료할 것을 권고하고 있음.
  • 더욱이 남중국 지역에서도 11 11일 광군제블랙프라이데이크리스마스 등 연말 할인을 앞두고 전자상거래 물량이 급증해 운임이 상승하고있어적어도 중국 출발 항공편의 스페이스는 대단히 제한적인 상황이라고 언급함.
  • 또한“ 한국에서는 반도체 수요증가로 인해 미국행 항공화물 스페이스가 부족한 상황이며연말까지 이러한 공급제한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출발 최소 2주전 예약이 권장되며이는 한국반도체 공급망의 중요한 흐름을 보여준다”고 밝힘.
  • 다만, 동남아시아 지역에서는 국가별로 상반된 상황이 나타나고 있음.  베트남의 경우 4분기 주문을 맞추기 위해 많은 제조업체가 생산을 가속화하면서 스페이스 부족이 예상되고 있으며, 말레이시아는 수출 둔화 전망이 나타나고 있음.
  • 또한, 싱가포르와 필리핀에서는 장거리 구간 운송을 위한 스페이스 확보가 쉽지않으며 운임상승 압박이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됨.
  • 특히 인도는 디왈리 축제가 11 3일까지 이어지며 전자제품의류 및 장식품 등 소비재에 대한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보여 항공 및 해상화물 공간 부족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음.  이는 단순히 운임상승을초래하는 것 외에도 현장 노동력 부족으로 인한 지연을 유발할수 있음.
  • 이처럼 성수기에 대한 부정적인 전망이 지배적인 상황이긴해도 전반적으로, 2024년 항공화물 시장의 성수기에는 연말 수요증가이커머스 확대고유가미국달러 강세 등의 요인이 결합해 운임 및 스페이스 대한 압력이 높아질 것으로 보고 있음.

 

3)  現 항공화물 수급/가격 동향 update                        

        

   

  • 43주차 최근 아시아에서 항공 화물량이 증가했다는 보고에 따르면 항공 성수기가 시작되고 있음.
  • 중국발 항공화물 수요가 살아나면서 세계항공화물 시장이 본격 성수기로 진입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됨.  전통적인 성수기 시즌으로 접어들면서 마침내 글로벌 항공화물운임이 다시 상승함.
  • 이 같은 상승세는 중국발 미주와 유럽노선에 대한 수출노선의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며최근 글로벌 항공사들이 태평양노선에 대해 공급력을 강화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운임은 상승기조를 나타내고 있음
  • Freightos Air Index 중국 – 북미행 운임은 지난주 $7.00/kg바로 아래였으며, 1년 대부분과 9월까지 보였던 $5.00 ~ $6.00 수준을 훨씬 상회함.
  • 유럽으로가는 가격은 $3.86/kg 9월보다 12% 높지만 아직 급격한 상승은 시작되지 않았음.  항공 화물업계가 현재 겪고있는 와이드 바디 화물기 공급부족이
  • 앞으로도 상당기간 지속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됨.
  • Atlas Air담당은 “ 현재 글로벌 항공화물시장의 공급이 수요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 ”고 언급하며,  “ 특히, 알리바바의 물류 자회사 차이냐오와 같은 기업들 덕분에 수요가 증가하고있다”고 설명함.
  • 문제는 공급망을 회복 시키기 위해서는 가용용량의 증가가 필수적인데현재 시장은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옵션이 매우 제한적임.
  • 보잉이 겪고있는 (파업)문제와 신기술 도입의 지연, 에어버스의 와이드 바디 화물기 출시도 후반기까지 미뤄지는 현상황은, B777-8 화물기와 개조된 B777-300F 모델의 인증문제로 인해 단기적으로 스페이스 용량 확충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분석임.
  • 이는 곧장 공급망 시장에 큰 압박을 가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경고,  아울러 ICAO의 2028년 항공기 배출 기준이 추가적으로 시장에 공급량을 제한할 수 있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됨.
  • 결국당장은 물론 앞으로도 시장에 화물공급 용량 부족이 해소될 기미가 없고,  이로인해 화물운임은 지역에 따라 상승했고프레이트 포워더와 화주 고객들에게 경제적 부담이 가중될 수 있음.
  • 이에 따라 심할 경우 앞으로 10년안에는 지금의 공급부족을 해소할 방법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음.

 

4)  글로벌 익스프레스 시장은 2028년까지 연평균 7.3% 성장 전망

  • 올해 세계 익스프레스시장은 전자상거래(EC)의 성장으로 전년대비 9.2% 성장한 5,659 6,200만 유로( 842조원)에달할 전망오는 2028년까지는 연평균 7.3%가 성장 7,366 2,400만 유로에 이를 것으로 보임.
  • 글로벌 익스프레스 상위 3개사는 여전히 미국 UPS, 페덱스(FedEx)와 독일 DHL.  '빅3'가 갖고 있는 시장을 중국 SF익스프레스, 프랑스 라포스테, 일본 야마토가 점차 확대할 것으 로 예상.
  • 영국 '트랜스포트 인텔리전스(T)'의 분석에 따르면 신흥시장이 세계 익스프레스 시장 성장을 실제로 견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이 같은 신흥시장의 성장세가 유럽시장의 실적 부진을 어느 정도 보완하고 있기도 함북미시장은 지난 2022년 약간 감소했지만 2023년에는 성장을 회복한 것으로 분석작년 세계익스프레스 시장은 3.8% 성장한 5,184 6,500만 유로 시장을 형성이 같은 성장세는 중국으로 중심으로 한 전자상거래가 주도했기 때문.
  • 또 최근 '리서치 앤 마켓'의 전망에 따르면 오는 2030년까지 세계 항공화물 시장은 연평균 7.6% 성장할 전망. 올해 기준 3,802억 3,000만 달러인 시장이 2030년에는 5,920억 딜러 시장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
  • 또 트랜스포트 인텔리전스가 지난달 밝힌 '해상운임 동향에 따르면 홍해위기 등으로 세계 해상운임은 급등한 것으로 나타남. 지난 8월 기준 운임지수는 1월보다 1674포인트, 4월 보다 154.6포인트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남. 하지만 주요 항로 운임은 7월 평균 19.1% 상승했지만 8월에는 10.3% 하락. 해상운임은 여러 요인으로 상승. 올해는 공급망 혼란사태가 가장 큰 요인으로 보임. 결국 앞으로도 이같은 공급망 혼란 사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으면 운임은 더욱 상승할 전망. 홍해사태로 희망봉을 경유하면서 증가된 선복 수요가 결국 아시아의 주요 항만의 체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도 이 같은 이유 때문.

 

5)  항공사/GSA Movement

  • 에어프레미아 홍콩취항 1/25, YP802 1245/1715(월,수,금,일) 뉴어크 증편(12/17-)YP132/EWR0001-0540+1ICN(월화,수,목,금,토) .
  • 델타항공, 25년 6월 부 LAX-PVG 복항. 수,금,일 2325/1605+1.

Share this article :

back-to-top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