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tangle

세상을 움직이는 물류의 힘!
바로 엑스트란스의 힘입니다.

엑스트란스 - 항공 물류 업데이트 - 41주차 블로그

1. 항공화물 General  

1) 익스프레스/소형 소포 시장은 2030년가지 8% 성장 전망

  • 2029년까지 세계 물류시장은 연평균 3.8% 성장할 전망특히 아 • 태지역이 연평 균 5.9% 성장하면서 전반적인 상승세를 주도할 전망.
  • 또 중동 • 북아프리카(MENA)시 장도 연평균 4.8%의 성장세가 예상.
  • 최근 영국 트랜스포테이션 인텔리전스(T'가 전망한 바에 따르면 전체 물류시장 가운데 계약물류시장은 지난 2020~2024년동안 2,469억 유로에서 2,956억 유로시장으로 확대 • 태지역의 계약물류시장은 오는 2029년까지 연평균 6.33% 성장세가 예상.
  • 작년 글로벌 포워딩시장은 6.1% 성장했으며 •태지역이 글로벌 포워딩시장의 36.1%를 차지.
  • 익스프레스 • 소형 소포시장은 오는 2020년까지 7.9% 성장할 것으로 전망. 2024년 기 준 세계 익스프레스 • 소형 소포시장은 2,727억 유로시장을 형성,  최근 5년 간 가장 빠른 성장세.
  • 올해 세계 전자상거래 물류시작은 전년대비 15.5%의 성장세를 보일 전망이며작년 기준 북미가 가장 큰 시장으로 2,004억 유로의 시장을 형성.

 

2) “아시아 환적 허브 ‘과부하’” - 성수기 동남아발 항공화물 수요 압도

  • 아시아 항공화물 시장이 성수기 정점을 맞으며 주요 환적 허브들이 극심한 압박을 받고 있다고 Dimerco Express가 10월 시장 보고서에서 밝힘. .
  • 9월 말 슈퍼 태풍 ‘라가사(Ragasa)’가 중국 남부와 홍콩을 강타하면서 항공편 결항과 물류 적체가 이어졌고여기에 중-유럽 철도 노선의 일시적 운행 중단까지 겹치면서 항공 운송 수요가 폭증했다는 분석.
  • 특히  “동남아시아가 수출 수요를 주도하고 있다태국베트남말레이시아싱가포르 등에서 출발하는 AI·반도체·이커머스 화물이 미국과 유럽행 항로로 대량 집결하면서싱가포르·타이베이·홍콩·인천 환적 허브가 포화 상태에 가까워지고 있다.”고 전언,  
  • ,  “항공화물의 전통적 성수기이지만올해는 특히 동남아에서 폭발하는 수요 강도가 다르다며, . AI 및 첨단 제조업 연계 화물이 환적 허브들을 사실상 만석에 가깝게 만들고 있다고 함.  
  • 이에 따라 포워더들은 고객들에게 지연을 피하기 위해 출하를 최소 1~2주 앞서 예약할 것을 권고하고 있으며긴급 화물의 경우 출발지나  환적 허브를 유연하게 조정하는 것이 혼란을 줄이는 방법으로 제시.
  • 해상운송 시장은 대조적으로 약세주요 항로 전반에서 수요 부진이 이어지자 선사들은 골든위크 기간 운항 축소를 단행하며 운임 안정을 꾀하고 있음.
  • 선박 공급은 수요를 상회하고 있으며운항사들의 영업이익률은 지난 18개월 사이 최저 수준 하락이에 따라 선사들은 공급 조절과 운임 방어 압력에 직면.  컨테이너 시장 관계자들은 10월 하반기 Blank Sailing 증가 가능성을 예고하며아시아-미국행 화물은 유연한 경로 선택과 조기 예약을아시아-유럽행 화물은 4분기까지 운임 변동성 지속에 대비할 것을 당부.

 

3) 중국미국관세 피해 신흥국으로 à 저가수출 폭주 속 최대 흑자 전망

  • 중국이 미국 고율 관세를 피해 저가 제품 수출을 크게 늘리며올해 사상 최대(1.2조 달러)의 무역흑자 기록 전망
  • 올해 1∼8월 중국 무역흑자 규모는 7,858억 달러로 작년 동월(6,126억 달러대비 28.2% 급증
  • 중국이 미국 관세를 피해 인도 · 아프리카 · 동남아시아 등 신흥시장으로의 수출을 대폭 확대하고 있어관련국 들은 반덤핑 조사 압박을 받고 있는 상황 (인도최근 중국 등 상품 덤핑에 대한 조사 신청 50건 접수)
  • Bloomberg는 중국의 공세적 수출 전략 타깃이 된 국가들이 적극적인 조치에 나설 가능성은 낮게 평가
  • "이미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 휘말린 국가들은 세계 2위 경제 대국(중국)과의 무역전쟁을 꺼리고 있다고 전언.

 

4) 글로벌 평균 항공운임은 $2.54로 4% 하락  

  • 지난 9월 기준 세계 항공화물 평균 운임은 2.54달러/kg로 전년동기 대비 4% 낮은 수준을 유지지난 5월 이후 전년동기 대비 3~4% 하락세를 5개월 연속 유지.
  • 항공화물에 대한 수요와 공급은 전년동기 대비 3%가 각각 증가, 9월 항공화물 수요 2024년 월평균 = 100) 105'로 비교적 강세를 유지항공화물 수요(2024년 월평균 =100) 역시 105'로 나타났는데이에 따른 항공화물에 대한 평균 적재율은 59%로 전년동기 대 비 1% 하락.
  • 특히 미국의 건당 800달러 이하 소액 물품에 대한 목록통관 금지와 관세 부과로 전자상거 래를 중심으로 미국노선에 대한 항공화물 수요가 크게 감소대신 유럽노선의 전자상 거래 수요는 증가.
  • 태평양노선과 대서양노선 모두 운임도 전월대비 2~3% 하락. .
  • 주요 노선별 운임은 동남아 - 북미노선의 운임은 498달러/kg으로 전년동기 대비 22%가 하락한 수준인데동남아 - 북미노선 운임도 435달러kg로 전년동기 대비 10%, 동북아 - 유럽노선도 4.15달러/kg 9%가 각각 떨어진 수준을 유지.
  • 또 지난 3분기 기준 포워더와 화주 간 항공운임 계약 관계는 6개월 이하 단기계약 비중이 전년대비 증가함신규 항공운임 계약을 기준으로  1년 이상 계약기간이 2%, 12개월이 44%, 6개월이 23%, 3개월은 20%를 각각 차지 3분기 기준 포워더와 항공사 간 1개월 이하 현물운임 계약비중은 48%.

 

5) Airlines Movement

  • 페덱스(FX),: HAN  ICN  CAN 1회 화물노선 신설

          -> HAN발 전자제품 & 섬유 등 고수요 분야를 중심으로 수출 지원 예정

  • DHL Express(D0) : HAN HKG 경유 화물노선 주6회 운항 (B777, A330)
  • 아시아나항공(OZ) :   9 5일부터 12 31일까지 ICN  FRA 여객노선 주5회 운항 재개 (A380)

          -> ‘26 1 15일부터 3 28일까지 ICN–BKK 여객노선 주11 → 14회 증편 (A321N, A359)

  • 마틴에어카고(MP)  : 10 28일부 ICN – HKG – AMS 화물노선 주1, ICN – AMS 직항 주2회 운항 (B744)

Share this article :

back-to-top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