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tangle

세상을 움직이는 물류의 힘!
바로 엑스트란스의 힘입니다.

엑스트란스 - 항공 물류 업데이트 - 40주차 블로그

1. 항공화물 General  

1) 터키항공보잉 항공기 75대 추가 도입 예정 - 2034년까지 787 기종 50 + 25

   

  • 전 세계 가장 많은 국가로 취항하는 터키항공이 2029년부터 2034년까지 대형기 보잉 787-9  787-10 항공기 총 75대를

추가로 도입할 계획.

  • 터키항공과 보잉은 항공기 50대 주문과 추가 25대 옵션 주문을 확정했으며마찬가지로 전략적 항공기 도입 계획의 일환으로 보잉과

737-8/10 맥스 기종 100대 주문과 추가 50대 옵션 등 총 150대 항공기 도입에 대한 합의도 완료.

  • 터키항공은 창립 100주년을 기념하는 ‘비전 2033(Vision 2033)’의 일환으로 2033년까지 항공기 보유 대수를 800대 이상으로 확대,

차세대 항공기의 비중을 2033년까지 90%, 2035년까지 100%로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이를 통해 운용 효율성을 더욱 강화하는

동시에 연평균 6% 수준의 성장률을 유지할 계획.

  • 한편 터키항공은 현재 787-9, 777, 737 맥스차세대 737, 777 화물기를 포함해 200대가 넘는 보잉 항공기를 운용 중,

이번 합의를 통해 머지 않아 787 라인 중 가장 큰 기종인 787-10드림라이너를 도입 예정.

 

2) 화물기 공급 제약으로 인한 항공화물 성장 영향 전망

 

  • Atlas Air, 항공화물 수요 성장에도 불구하고 노후 기체 퇴역과 신규 화물기 도입 지연 등 공급 제약이 항공화물 성장률을

위축시킬 수 있다고 경고

  • 항공화물 수요 ‘30년까지 연간 약 4% 증가 전망 (전자상거래 +10%, 국제 특송 +3%, 일반 화물 +2.7% )

미 관세 조치에 따라 생산 기지 동남아 이전중국의 유럽 · 멕시코 · 남미 시장 공략 등 공급망 전반이 변화.

  • De minimis 종료에 따라 Shein은 미국 내 고령층 수요 공략에, Temu는 신규 시장 개척에 주력 반면공급은 노후 기종 퇴역

및 신규 모델 진입 지연으로 화물기 공급 불균형 심화에 직면해 있음

  • 전 세계 Widebody 화물기 연간 1% 미만 증가 전망 (25 655대 → ‘30 685, 5년간 +4.4%)
  • 25 4326 3628 3529 3430 36 ( 184이며이 중 상당수는 130대 규모의 Widebody 화물기

퇴역(MD-11F )으로 상쇄될 전망

  • 항공기 주문 잔고 1 7천 대 기록 등 신규 화물기 모델의 시장 진입 지연도 공급 제약에 큰 영향

 

3) 트럼프  - 10 1일부 의약품에 100%, 가구 · 대형트럭에 25~50% 관세

  • 트럼프 대통령, 9 25 Truth Social에 미국 내 제약 제조 시설을 건설 중인 기업 외 모든 기업을 대상으로 10 1일부

브랜드 의약품 및 특허 의약품에 100% 관세 부과 발표

  • 사실상 현재 미국에 의약품 제조 공장을 갖고 있지 않은 제약업체가 대상,  백악관 관계자미국과 무역 협상을 타결한

국가(EU·일본산 의약품 15%)는 적용 대상이 아님을 명시

  • 한국은 지난 7월 반도체 · 의약품에 대해 미국으로부터 최혜국 대우를 약속받았으나아직 양국 최종 문안 합의 및 서명이

이루어지지 않아 당분간 한국산 의약품 미국 수출에 100% 관세 적용이 불가피할 전망  

  • 이에 따른 미 수출 한국 제약업체 타격 우려 제기 (24 한국 대미 의약품 수출액 약 14.9억 달러)

대형 트럭 25%, 주방 & 욕실 용품(부엌 수납장 · 세면대 등) 50%, 가구(소파 · 의자 등) 30% 관세 부과 예고  

  •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해 4월부터 해당 품목들의 국가 안보위협 여부를 조사한 결과에 따른 것임

 

4) 우체국 한국발 · DHL 독일발 미국행 국제우편 재개

  

  • 우정사업본부미국 de minimis 폐지로 일부 중단했던 미국행 국제우편 서비스 9 22일부 전면 재개
  • 미국 관세국경보호청(CBP)에서 승인한 관세 대납 업체와의 협의를 통해 관세 신고 · 납부 경로 확보
  • 발송인이 직접 관세를 현금 납부 또는 계좌이체로 선납하는 방식(DDP)으로 운영  한국산 제품에 약 15% 관세율 적용되나품목과

원산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 100달러 이하 선물은 소정의 신고 수수료 납부 시 관세 납부 없이 배송 가능  물품 가액 10만원인 우편물의 경우 수수료가

 3,250(부가세 포함)으로 수수료율 대폭 인하 및  DHL Express · DHL Parcel, 9 25일부 4주 만에 기업 고객 대상 독일발

미국 · 푸에르토리코향 배송 재개 ㄹㄹ

  • 800달러 이하 화물에 대해 '관세 선납 우편 서비스(Postal DDP)' 예약 필요한데, DHL, de minimis 종료에 대응해 세관 규정 준수를 위한

데이터 수집 및 관세 납부 절차 전면 개편했다고 밝힘

 

5) Airlines Movement

  • 페덱스(FX),: HAN  ICN  CAN 1회 화물노선 개설
  • DHL Express(D0) : HAN HKG 경유 화물노선 주6회 운항 (B777, A330)
  • 아시아나항공(OZ) :   9 5일부터 12 31일까지 ICN  FRA 여객노선 주5회 운항 재개 (A380)
  • 티웨이항공(TW) : 11 9일부터 28일까지 ICN  FRA 4회 여객노선 비운항 (A332)

Share this article :

back-to-top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