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항공화물 General
1) 3분기 항공화물 시장 “선(先) 출하 후(後) 소강 상태” 예상
여전히 잠재해 있다는 지적. 최근 TAC Data가 7월 시장을 좌우한 변수를 분석하면서, 3분기 시장에 대한 전망.
1. 관세 시한이 만든 ‘서두름’과 ‘주저함’
7월에는 8월 1일 미국 관세 부과 시한을 앞두고 수출업체들이 물량을 앞당겨 출하하는 한편, 불확실한 정책 환경에 대응 요구,
베트남·태국·말레이시아발 수출은 모두 19~36%의 신규 관세 대상이 되며 물동량이 급증. 특히 8월 29일 시행 예정인 디미니미스 폐지로
중국발 전자상거래 화물의 압박이 커졌다. 아시아–미국 노선 스팟운임은 약 5달러/kg 수준을 유지, 이미 물량을 선적한 화주가 많아 성수기
수요 확대에는 제약이 예상.
2. 화물기 운항 재배치 가속
화물기 운항사는 환태평양 노선에서 동남아·유럽·중남미로 운항력을 이동 중. 7월 환태평양 대·중형 와이드바디 공급은 약 15% 감소.
대신 아시아–유럽 노선 공급은 전월 대비 18% 증가했으며, 중남미발 미국행 운항도 확대. 중국발 미국행 물동량은 여전히 4월 이전 수준
3. 스팟시장 지배력 확대
7월 아시아–미국 노선의 스팟거래 비중은 전체 물동량의 70% 상회, 계약운임과 스팟운임 간 격차가 확대되며 가격전략 수립이 어려워짐.
런던 히스로발 운임은 11.14% 급등한 반면, 시카고발은 5.13% 하락. 싱가포르–동남아는 허브 혼잡과 물량 이동 영향으로 4.29% 하락.
4. 항공기 공급 제약 심화
777-300ER 개조 수요는 높지만, 여객사가 항공기를 장기 보유하면서 개조용 기체 확보 난망. 777F 생산은 2027년 종료, 777-8F 출시는
2028년으로 늦춰져 중장기 공급 확대는 제한적일 전망.
7월 말 시장은 다소 안정됐지만, 8월 1일 관세 연장 만료와 8월 29일 디미니미스 폐지로 수요 패턴은 다시 요동칠 가능성 높음.
앞당겨 선적한 물량이 소화되면서 단기적으로는 수요 완화가 예상되며, 규제 변화와 화물기 공급 제약이 불확실성을 키울 전망.
시장 적응력이 성수기 흐름을 좌우할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
대체 노선과 공급망 다변화를 서둘러야 할 시점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
2) 미국 항공화물 수입 비중 급증 속 베트남·대만발 수요 폭증
수입 비중이 이례적으로 급등했고, 주요 화물 출발지도 중국에서 베트남·대만 등으로 빠르게 재편.
차지한 금액 비중은 월별로 46%에서 최대 56%. 이는 전통적으로 항공:해상 수입금액 비중이 약 40:60 수준이며, 항공 비중은 평균
37~44%를 기록하던 과거 대비 상당히 높은 수치.
증가하면서 이를 충분히 상쇄했다”고 평가.
중국산 컴퓨터 관련 제품의 실질 관세율이 6월 기준 약 17%에 달하는 상황에서, 이러한 제품들이 다른 경로로 우회 수입되기 시작한 것은
당연한 흐름”이라고 설명.
수입은 감소세. 자동차 산업은 전통적으로 해외 부품 의존도가 매우 높은 분야인데, 현재 가장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산업 중 하나인 상황.
3) 아시아나, ‘벨리카고’ 방식 화물 운송 지속
적극 대응한다는 방침.
4) 불붙던 저가항공사 M&A ··· 잇단 악재에 먹구름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됐던 인수합병(M&A)도 줄줄이 불확실성 상황.
300억원대 영업손실을 기록했고, 진에어·에어부산도 전년 동기 대비 영업손실이 -40%가량 줄어듬.
업계에서는 LCC 실적 불황이 올해 하반기까지 이어질 것이라 보고 있음. 이는 코로나 회복 특수를 누리던 지난해와 다른 분위기.
대형항공사(FSC)를 만들 것이란 ‘장밋빛 전망’이었지만, 최근 실적 악화로 LCC 사업구도 재편에 불확실성 증대.
거래 성사가 불투명. 잔금을 납부하지 못하면, 에어프레미아는 올해 말 경영권 지분 66%가 M&A 시장에 매물로 나오게 됨.
소노인터내셔널의 상장 지연 상황.
티웨이항공은 제3자배정 유상증자, 무상감자, 영구채 발행 등을 통해 도합 2000억원 규모의 자본을 확충하기로 공시.
현재 이스타항공 대주주인 VIG의 희망금액은 약 5000~6000억원인데, 국내 사모펀드(PEF)는 실적 불확실성으로 인수 꺼림.
잠재적인 인수후보자.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