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tangle

세상을 움직이는 물류의 힘!
바로 엑스트란스의 힘입니다.

엑스트란스 - 항공 물류 업데이트 - 30주차 블로그

항공화물 General 

1)  EU, 중국발 전자상거래 증가 막지 못해

  • 유럽연합(EU)은 최근 중국발 저가의 국경간 전자상거래 물품에 관세를 부과할 계획이라고 밝힘현재 제품가액150유로 미만에

부과하지않는 관세를 부과하거나 비관세 가액을 낮추는 방안을 고려 중이라고 설명함.

  • 유럽위원회(EC)에 따르면 지난해 유럽연합은 총23억개의 상품을 비관세 기준인 150유로 미만으로 수입함지난 4월기준으로는

35만개의 품목이 비관세로 수입돼 전년동기 대비 2배 이상 증가함.

  • 유럽연합은 비EU 국가 들로부터 150유로 미만 수입물품에 대해선 관세를 부과하지 않고 있으며, 영국도 39파운드수 입물품에

대해서 관세를 부과하지 않음.

  • 미국과 함께 유럽 각국이 정치적 문제가 결부된 중국 때리기가 여전한 가운데에도 전자상거래 수요 급등을 막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남.
  • 특히 항공화물의 경우 각 주요 허브공항의 수입량이 늘고 있는데, 특히 유럽 전체의 이커머스 허브라고 할 수 있는 리에주공항(LGG)의

상반기 화물 취급 톤수는 전년 동기비 15%가 상승한 56만 6,117톤으로 나타났으며, 화물기 운송 횟수도 크게 증가함.

  • 다만 최근 리에주 공항 역시 중국발 전자상거래 세관 단속과 관련해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기도 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항화물 취급실적은 상승세를 멈추지 않음.

  • 시장 분석전문가들은 “6월 실적만 두고 봐도 유럽의 최대 거점 공항인 프랑크푸르트 공항(FRA)의 화물 취급량은 17만8,324톤으로

11.4% 증가한데 반해 LGG는 21%가 증가한 9만5,514톤으로 증가률에서 차이를 보이고있다.  기간 중 글로벌 항공화물 수요 증가율은

13%였다.”고 지적함

 

2)  글로벌 특송 택배 시장은 향후 4년간 지속 성장 전망 - Ti, “라스트마일 업체 수익성 악화는 문제”

  • 최근 발표된 Ti(Transport Intelligence)의 전 세계 익스프레스(특송) 시장 규모는 약 5,660억 유로(6,19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전년대비 9.2% 성장한 수치다. 이에 오는 2028년에는 약 7,370억 유로에 이를 것으로 전망.

  • 특히 Ti는 "(특송)시장은 계속해서 전자상거래 성장에 의해 주도될 것"이라고 밝히면서, 지난해 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약 2,000억 유로의

시장 가치를 기록하며 세계 택배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북미 지역이 1,920억 유로로 그 뒤를 잇고 있는데, Ti는 "이 두 지역이 전 세계

시장 가치의 75% 이상을 차지하여 특송 산업에서의 지배력을 높이고 있다"고 함.

  • 또한 유럽은 3위로 약 1,020억 유로의 시장 가치를 기록했으나, 연평균 성장률(CAGR) 2.9%로 두 번째로 낮은 성장률을 보여 아직은

성숙하고 과포화된 시장은 아니라는 점을 지적. 이밖에 중동 및 북아프리카, 남미,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러시아, 코카서스 및 중앙아시아

등 다른 지역들은 "상대적으로 더 작은" 시장 점유율을 보유.

  • 이에 따라 글로벌 특송 택배 시장은 향후 4년간 지속적인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지만, 문제는 이미 성숙한 시장에서는 라스트 마일

택배 업체들이 수익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기도 함.

  • 실제로 영국의 택배 업체 Yodel은 지난 2월 기술 기업인 Shift에 의해 파산 직전에 인수되었으며, 지난해 6월에는 영국의 익스프레스

기업 Tuffnells를 추가로 인수한 바 있다. 그러나 업계 관계자는 "수익을 내지 못하는 '기술' 기업이 1000만 파운드 매출을 올리는 회사를

인수하고, 6개월 후 수익이 나지 않는 5000만 파운드 매출의 회사를 또 인수하여 '물류 거대 기업'으로 거듭나겠다는 계획은 에초부터 무리였다"고 함.

  • 이에 대해 Ti "라스트 마일 부문은 종종 수익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지만, 인터넷 기반 소매업의 성장 가능성 때문에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이다"고 설명.
  • 실제로 영국 기반의 익스프레스 택배 업체 Evri는 영국 라스트 마일 시장의 약 20%의 매출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지만, 현재 시장에 매물로 나와 있으며,

중국 인터넷 소매업체 JD.com과 알리바바가 Evri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3)  인천공항 SEA & AIR 물동량 65% 급증

             

  • 지난 2분기 인천공항의 해상 항공(Sea & Air) 복합운송 물동량이 1분기보다 64.2% 증가한 3 1644t을 기록
  • 또 인천국제공항공사가 해상•항공 복합운송의 품질 향상을 위해 최초로 국내 3개 항만으 로부터 인천공항까지의 운송시간을

분석한 결과, 총 소요시간으로는 인천항이 가장 빨랐 으며 실제 공항 도착시간은 군산항이 가장 빠른 것으로 각각 분석.

  • 인천공항 2분기 전자상거래 해상•항공 복합운송 실적은 1분기 1만 9,266t 대비 64.2% 증가 한 3만 1,644t을 기록.
  • 출발지는 중국이 99.6%를 차지했다. 도착 항만은 인천항(37.3%), 군산항(31.8%), 평택항(30.4%) 순.
  • 목적지는 미주(41.6%), 유럽(32.1%) 등 주요 선진국이 지속적인 강세를 나타남.
  • 이와함께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최근 중국계 전자상거래 기업들이 판매시장 다각화에 나서 고 있어 하반기에는 동남아시아 및 중동,

남미 등으로의 전자상거래 화물 수요 증가가 기대.

  • 각 항만별 운송소요시간 분석은 6월 26일부터 30일까지 실제로 각 항만에서 인천공항까 지 운송된 해상·항공 복합운송 화물들을

표본 추출 후, 각 구간별 세관신고시간의 평균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이뤄짐.  

그 결과 인천공항과 지리적으로 근접한 인천항이 총 평균 소요시간 4시간 39분으로 가장 짧음. .

  • 즉, 해상 항공 복합운송을 이용하는 물류기업은 한국 내 도착항만을 어디를 선택하건 인천 공항에 화물이 도착하는 시간은

거의 동일함에 따라 인천공항 해상·항공 복합운송 루트를 이용시 대단히 안정적인 물류모델을 구축 가능하다는 것이 이번 분석으로 확인.

  • 인천공항 해상•항공 복합운송을 하는 주요 물류기업 중 하나인 KJD로지스틱스의 홍빈 대 표는 인천공항은 코로나 등 외부 환경이 빠르게 변화할 때도

국제선 여객편과 화물편을 활용한 안정적 공급이 유지되어 화주의 신뢰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라고 해상 항공 복합운송 확대의 원인을 분석.

  • 인천국제공항공사 이학재 사장은 항공화물 트렌드의 변화 속도가 점차 빨라지고 있어 항 공물류업계에서는 이에 맞는 신속한 사업모델 전환이

대단히 중요해졌다"며, 인천공항은 글로벌 항공화물 업계를 선도하는 리더로서 앞으로도 시장의 변화를 가장 빠르게 전망하 고 새로운 성장 방향을

업계에 제시해 나가겠다"고 말함.

 

4)  2043년까지 화물기 수요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에어버스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GDP와무역시장은GDP 성장률과 수렴하고 있으며, 이에 세계GDP 2023-2043년 동안 연평균 성장률(CAGR)

2.6% 성장이 예상되고 같은기간 세계무역은 연평균 성장률이3.1%가 될 것 으로 예상됨.

  • 이에 따라 전세계 항공화물 트래픽은 2027-2043년 동안 연평균 3.1%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중 특송화물(Express)과

일반화물(General Cargo)이 각각 4.4%와 2.7%의 연평균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됨.

  • 또한 지난 2023 245 FTK(Freight Tonne Kilometers)의 실적을 보인 항공화물수요는 2043 525 FTK로 증가할 것이며,  2023년에는

특송화물이 20%, 일반화물이 80%를차지했으나, 2043년에는 특송화물이 25%, 일반화물이75%로 비중이 변화할 것으로 예상함.

  • 이는 화물전용기 수요에 영향을 미쳐 세계 화물기운항 대수는 오는 2043년까지 3,360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화물기수요는 2024-2043년 동안

총 2,470대의 화물기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함.

  • 결론적으로 에어버스는 향후 20년간 항공화물 운송시장은 경제성장과 무역증가에 따라 지속적인 성장을 기대할수있으며,  특히 특송화물시장의

빠른 성장이 예상됨.  화물기 수요가 꾸준히 증가할것으로 전망되며 이를 위해 신형항공기 도입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됨

 

Share this article :

back-to-top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