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tangle

세상을 움직이는 물류의 힘!
바로 엑스트란스의 힘입니다.

엑스트란스 - 항공 물류 업데이트 - 03주차 블로그

항공화물 General   

1)  아시아-유럽노선 올해 공급확대 지속

   

  • 새해부터 아시아와 유럽노선에 대한 신규화물 노선이 개설됨. 1 8일부터 MSC Air Cargo는 암스테르담(AMS)과 인천(ICN) 노선을 운항에 들어가며,이항공사는 현재 ‘B777’ 화물기 5대를 운항 중에 있음이가운데 4대는 아틀라스항공(Atlas Air), 1대는 최근합병한 ‘ 알리스카고 항공 (Alis Cargo Airlines)’ 이 운항 중에 있음.
  • 해당 서비스는 인천(ICN)과 브뤼셀(BRU) 간 노선을 포함 할 수 있는 에어인천 (Air Incheon)과 경쟁할 가능성.
  • DB Schenker도 8일부터 에티하드항공(EY) 화물부문과 파트너십을 통해 중국 어저우 (EHU)와 프랑크푸르트 (FRA) 노선에 정기편 세편을 운항하기 시작했으며, 운항기재는 ‘777F’로 알려짐.
  • 매주 화요일 어저우 (EUH)를 출발해 아부다비 (AUH)을 경유하며, 전자상거래를 비롯해 HI-TECH 물동량 등에 대응하기위한 전세편 운항이라고 설명함.  연간 약 5,200톤의 물량을 처리할 것으로 추정됨.
  • 추가로, 어저우 (EHU)로 알려진 Ezhou Huahu International Airport은 떠오르는 화물 운송지로, 30개의 국제 화물 노선과 53개의 국내 화물노선을 보유하고 있으며작년 중국 내에서 가장 빠른 성장률을 기록해 화물 처리량 120만톤으로 5위를 차지함.
  • 우한에서 75km 떨어져 있으며, 장강 삼각주 및 주강 삼각주 지역을 포함한 5대국가급 도시권과 1.5시간 비행거리에 있음.
  • Maersk Air Cargo도 중국 정저우(CGO)와 덴마크 빌룬(BLL)노선을 주6편 정기 운항하기 시작했으며, 운항기재는 ‘B767’ 화물기로 전자상거래와 전자제품을 주로 운송함.
  • 마지막으로, 노선과는 관련 없지만, 에어 애틀랜타 아이슬란딕(Air Atlanta Icelandic)은네트워크 항공 그룹(Network Aviation Group)을 위해 운항될 예정인 차이나 에어라인 카고(China Airlines Cargo)의 747F 항공기를 인수함.

 

2)  금년 항공화물 시장 대체로 낙관

  • 작년 국제 해상운송의 공급망 혼란으로 항공화물시장은 반대급부로 성장을 이어간 한 해. 국제항공운송협회(IATA)가 지난달 밝힌 '항공화물 운영 - 2025년 전략적 선결 과제 보고서 (Cargo Operations - 2025 Strategic Priorities Report)에 따르면 작년 상반기 세계항공화물 수요(CTK)는 전년동기 대비 13.4%, 공급도 15.6%가 각각 확대한 것으로 분석.
  • 이같은 항공화물 수요 증가의 요인은 전자상거래 물동량이 핵심. 협회에 따르면 작년 전자상거래 상품 판매도 전년대비 10~12% 성장한 것으로 분석. 이에따른 작년 세계 전자상거래 시장 규모는 6 3,00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 국경 간 전자상거래 상품의 80% 이상이 항공운송에 현재 의존 중.
  • 작년 전세계 상품 교역량은 전년대비 2.7%, 올해는 3%의 성장세가 각각 예상. 이는 세 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약간 넘어선 것.   
  • 작년 세계 전자상거래 소매 매출은 작년보다 21.2% 성장한 6조 3,300억 달러에 달한 것으 로 분석. 올해는 22.2%, 2026년에도 23.3%의 성장세를 각각 유지할 전망.
  • 전자상 거래로 움직이는 실질적인 '소포(parcels)' 물동량도 지난 2022년 1,700억 개로 2014년 대비 4배나 증가. 2023년 기준 소포 물동량은 1,890억 개에 달함.
  • 오는 2027년 이같은 소포 물동량은 2,560억 개에 달할 것으로 보임.  이는 2022년 대비 50%나 급증한 것. 이같이 확대되는 항공 수요에 대해 항공업계도 선행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국제 항공운송협회는 밝힘.

 

3)  방글라데시,다카발 항공화물 운임 – 연말연휴 이후 수요감소와 함께 급락       

  • 항공화물운임은 휴가시즌이 끝나면서 물동량이 감소함에 따라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지만, 일부노선에서는 운임이 더 빠르게 하락. .
  • 방글라데시, 다카에서 출발하는 미국과 유럽노선의 항공운임은 지난 한달동안 거의 절반으로 떨어졌음. 방글라데시발 유럽행 현물 운임은 약 두달전 1kg당  7.00유로/kg에서 현재 3.40~4.00유로/kg로 하락함.
  • 방글라데시 다카발 화물수송 용량은 지난달 대비 2.8% 감소했지만, 여전히 작년 12월과 비교하면 방글라데시의 화물용량은 약15% 증가함.
  • 미국으로의 화물운임은 현재 1kg 5.57 달러로, 두달 전 10달러에서 하락했으며, 다카발 일일수요는 약500~600톤 수준.
  • 방글라데시 화물 운송업체협회 (BAFFA)의 나시르 아흐메드칸 부회장은 “ 주요 수출목적지로의 수요가 감소하면서 운임이 하락했다 ” 며,  “겨울시즌 주문의 대부분이 이미 발송됐고, 주요 목적지에서는 크리스마스 관련 휴일이 아직 진행 중 ”이라고 설명함.
  • 항공화물 운임은 항공사의 용량과 화물수요에 따라 달라진다며,  현재 유럽과 미국의 많은 사무실이 아직 문을 열지않아 수요가 감소했고, 이로인해 운임도 하락했다고 덧붙임. 또한, 운임은 화물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대량화물을 운송하는 화주에게는 더 낮은운임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라고 밝힘.
  • 인도의 의류시장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도,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방글라데시의 의류수출은 6.23% 증가하여 총377억 1천만달러를 기록함.
  • 수출진흥국의 안와르호세인 부회장은 “ 방글라데시의 수출은 매달 증가하고 있으며큰 성장을 보이고 있다 ” 며, 2024 7월부터 12월까지 전체수출은 2023년 같은기간 대비 12.84% 증가했다 ” 고 밝힘.

 

4) 전자상거래 급성장과 인프라 확충으로 남미 항공화물 수요 확대

  • 남미지역의 항공화물시장이 최근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 이는 전자상거래 수요가 급증하며 주요공항과 물류기업들이 인프라 확충에 적극 나서고 있기 때문
  • 브라질과 우루과이 등 주요시장의 변화가 두드러지고 있음. 글로벌 포워더 및 극동지역 물류업계도 이러한 흐름을 주목하고 있음. 
  •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의 조빔국제공항 (RIOgaleao)은 내년초 글로벌 전자상거래 대기업의 입점을 준비하며 1,000평방미터 규모의 창고를 마련하고 있음.
  • 추가수요를 대비해 인근창고를 리모델링하는 작업도 진행 중임. 
  • 우루과이 몬테비데오의 까라스코 국제공항(LACC)은 올해 초 Temu 플랫폼의 진출로 물량이 예상보다 크게 증가하며 어려움을 겪었음. 하지만, 전자상거래 플랫폼들과의 협력을 통해 인프라를 강화하고있음. 내년 초부터는 구여객터미널을 화물시설로 전환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할 예정임
  • 항공사들 역시 대응에 나서고 있음. 전자상거래와 항공화물 수요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카타르항공, 마틴에어, 카고룩스 등 주요 항공사들은 화물기를 아시아 시장으로 재배치하고 있음.
  • 이로인해 LATAM Cargo와 같은 현지항공사들이 남미내 수요를 충족하며 공백을 메우고 있음. 
  • LATAM Cargo는 브뤼셀을 유럽 허브로 지정하고 주당 12회 화물기를 운항하며 시장점유율을 확대하고 있음.
  • 터키항공은 이스탄불에서 마이애미를 거쳐 남미로 연결하는 새로운 노선을 개설하며, 아비앙카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음
  • 남미화물시장은 전자상거래 뿐만 아니라 제약, 자동차부품, 농산물 등의 수요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음.
  • 우루과이 몬테비데오의 까라스코 국제공항 (LACC)은 GSK와 협력해 백신을 브라질과 칠레로 공급하는 물류허브로 성장 중이며,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의 조빔국제공항 (RIOgaleao)은 GE Aerospace의 엔진 정비 시설로 인해 항공기 엔진 및 부품 물량이 전년대비 21% 증가함. 
  • 글로벌포워더들은 남미시장의 급성장세에 주목하며 현지 투자진출을 서두르고 있음.  운임상승과 전자상거래 수요 급등, 그리고 기존 제약 및 농산물 물류서비스 허브화 전략이 실효성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음. 
  • 중남미 시장은 이제 단순한 성장잠재력을 넘어 새로운 성장 동력을 제공하는 시장으로 자리잡고 있다과거 베트남과 인도시장이 그랬던 것처럼, 포워더들 역시 보다 적극적인 전략을 마련할 시점이다.이라고 강조함.    

Share this article :

back-to-top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