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항공화물 General
1) 항공사들 새 비행기 속속 들여온다
· 항공사들이 잇따라 신형 항공기를 도입하며 몸집을 키우는 중.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수년간 침체에 빠졌다가 지난해 중순부터 활기를 되찾은 여행·항공산업이
새해에는 정상 궤도에 올라설 것으로 예상되면서 항공사 움직임이 분주해지는 모습.
· 대한항공은 올해부터 2030년까지 순차적으로 에어버스의 에이(A)321네오 항공기 20대를 들여옴. 투자 금액은 4조원대. 이 물량을 넘겨받으면 대한항공의
해당 기종 항공기는 50대로 늘어나게 됨. 이 항공기는 같은 급 항공기보다 연료 효율성이 15%가량 높고 탄소 배출량이 25%가량 적은 것으로 알려짐. .
· 대한항공은 보잉의 B787-8 30대, B787-9 10대, B787-10 20대 등 신형 항공기 110대를 새롭게 도입해 연식이 오래된 항공기를 순차적으로 퇴역시키는 방안
추진 중. 보유 기종 첨단화를 통해 고객 서비스 품질을 높이고, 운항 효율성을 극대화해 비용 절감 효과도 얻겠다는 것이 대한항공의 전략.
· 제주항공은 차세대 항공기로 평가받는 B737-8 5대를 올해 들여올 예정. 앞서 제주항공은 이 항공기 50대 구매 계약 체결.
· 진에어와 이스타항공도 각각 4대, 5대 도입할 계획. 티웨이항공은 올해 안으로 에어버스의 중대형기인 에이330-300 2대를 들여올 예정.
· 항공사들이 신규 항공기 도입에 속도를 내는 것은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지난 3년 이상 침체됐던 항공 수요가 지난해 중순 이후부터 폭발적으로 늘어남.
국제항공운송협회(IATA)는 올해 약 47억명이 항공기를 이용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발표. 기존 ‘승객 최대 운송 기록’은 2019년의 45억명. 여행 수요
회복으로 올해는 2019년 기록을 넘어설 것이라고 예측.
2) 날개 펼치는 주작을 닮은 항공화물시장
· 항공화물시장은 Covid-19의 이례적인 펜데믹 상황에서 적지 않은 타격에 코로나를 벗어난 시점에서는 경기침체로 인한 2중고. 그러나 항공화물 시장의
실적은 조금씩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기업들은 시장 공급의 다변화를 시도하면서 변화를 꾀하고 있는 중. .
· 2024년 역시 좋지 않은 상황이지만 항공화물시장은 거대한 시조의 제왕인 주작처럼 조금씩 날개를 펼쳐 나가는 중으로 2024년 항공화물시장의 키워드를 보면 –
1.항공운임 반등 등 ‘실적 개선’ 기대
· 2024년 역시 글로벌 경기 전망이 좋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업계에서는 올해 항공 물류 산업의 경우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
· 국제항공운송협회(IATA) 자료에 따르면 실제로 2023년 8월 전 세계 항공사가 거둔 수송실적(CTK) 이 2022년 동월대비 2.5% 소폭 증가하며 실적이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 여전히 항공화물 시장의 수요는 공급 대비 약세를 보이고 있지만 최근 급락했던 항공운임이 반등하고 세계 무역량 감소 등
여러 외부 요인을 고려하면 실적이 개선되고 있다는 분석.
2.피할 수 없는 ‘디지털 전환’ 가속화
· 코로나 펜데믹에 이은 정치, 전쟁과 같은 이슈로 인해 글로벌 시장에서는 공급망에 대한 정확성과 가시성이 중요해지고 생존을 위한 필수 요건됨.
· 이미 항공사는 2000년 이전부터 디지털화가 진행되고 있었지만 실제 시장의 플레이어인 포워더, 화주, 콘솔사 등의 디지털화는 여전히 낮은 수준.
이에 기업들은 디지털 물류 플랫폼과 운임 견적, 운송계약, 화물 트래킹 등 기존의 포워더 역할을 하는 디지털 포워더 서비스 등 디지털 전환에 적극적.
· 항공화물시장의 플레이어들은 그동안 디지털 전환에 소극적. 하지만 글로벌 공급망에 대한 정확성과 가시성의 중요성을 항공화물시장에서 생존하기 위한
필수 조건으로 인식하게 되면서 도입속도가 빨라지고 있음. 2024년에도 이러한 항공화물시장의 디지털 전환의 속도는 더욱 빨라질 것으로 예상.
3.화물운송으로 다변화 꾀하는 ‘LCC’
· 항공사의 항공화물 사업 확장이 선택이 아닌 생존을 위한 필수사업으로 자리 잡음. 그간 항공화물은 대형항공사(FSC)의 효자 항목. 특히 글로벌 팬데믹
· 사태가 터지면서 여객에만 집중했던 저비용항공사(LCC)와 달리 대형항공사는 화물운송 비중을 늘리면서 역대 최대 실적을 견인하는 등 위기를 기회로 변환.
· 최근 항공화물 운임이 낮아지고 수요도 크게 줄어드는 상황에서도 저비용항공사들이 항공화물운송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입하거나 늘리는 이유는 사업 다각화를
통해 견고한 수익성을 확보하겠다는 전략.
· 항공화물 시장 관계자는 “항상 항공화물 시장은 경제가 어려울 때마다 새로운 기회를 창출했고 기회를 위기로 바꾸는 산업이었다. 코로나19 이후 다소 약세를
보이는 항공화물 시장이지만 2024년은 터닝포인트가 될 수 있는 기회가 있기를 바란다” 피력. .
3) 작년말들어 항공운임 급락 반전 : 중국발 전자상거래 물량 급감
· 작년 연말들어 항공화물 수요가 급격히 떨어지면서 항공운임 강세도 멈춘 것으로 나타님.
· 발틱항공운임지수(BA) 작년 12월 평균 항공운임은 홍콩(HKG) - 북미노선은 7.10달러/kg로 작년 11월의 615달러/kg보다 상승. 전년동기 대비로도
9.2%기 오른 것. 하지만 12월 마지막 주에는 다시 6달러/kg로 다시 떨어진 것으로 확인.
· 홍콩 - 유럽노선 역시 12월 평균 운임은 536달러/kg로 작년 최고 수준을 나타냈다. 작년 11월 4.64달러/kg보다도 강세를 유지. 하지만 전년동기 대비로는
2.9% 떨어짐. 유럽 노선 역시 마지막 주에는 4.50달러/kg로 하락..
· 마지막 주 항공운임의 이같은 하락은 중국발 전자상거래 수요가 급격히 떨어졌기 때문.
· 한편 BAI 운임지수는 포워더가 항공사에 지불하는 올인(all-in) 가격 기준. 또 계약 임과 현물운임의 중간 값이기도 함.
4) 공급망 불안으로 화주 항공운송 선택이 늘 것 - 고정운임 계약 전환 증가
· 글로벌 항공화물 시장 분석업체인 Xeneta는 최근 2023년 4분기 실적 분석에서 지정학적 불확실성과 공급망 혼잡으로 주요 화주들이 서비스 안정성을
위해 항공화물 수요로 몰릴 수 있다고 전망.
· 지난해 12월 글로벌 항공화물 수요가 전년동기비 9% 상승했다고 밝힌 Xeneta는 4분기 마지막 달이라는 한계로 운임 역시 수요 증가세 완화로 운임 역시
kg 당 2.60달러를 기록했다고 발표. 그럼에도 불구하고 12월 운임은 지난 9개월중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지적.
· 이에 따라 2024년 항공화물 시장은 무엇보다도 지정학적 위기가 장기화 될 것으로 우려되면서, 많은 글로벌 화주들은 이전보다 장기 고정운임 계약을 선호하는
자세를 보이고 있다고 지적, 특히 홍해 사태에 대한 해상화물 시장이 혼란을 더하면서 이같은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
· 관계자는 “ 공급망 시장에는 여전히 많은 마찰 요인이 상존. 특히 홍해를 통한 선박 이동이 중단될 그 연쇄효과는 수백만 TEU의 컨테이너가 지연을 야기할 것이다.
문제는 화주들이 이같은 상황이 언제 끝날지 모르고, 더 오래 지속될지도 모른다는 우려를 갖고 있단 사실이다.”라고 지적, 이는 예측 가능성이 높은 항공화물을 위해
더 많은 비용 지불을 감내할 수 있게 만들 것이라는 분석.
· Xeneta는 조사를 통해 2023년 4분기 6개월 이상의 장기 계약을 체결한 화주들의 비중이 전체의 45%를 차지했으며, 이는 전분기 보다 5% 포인트 증가한 수치.
· 한편, 12월 항공화물 운임 동향을 분석, 중국과 동남아를 출발해 유럽으로 가는 항공화물 운임이 각각 kg당 4.49달러와 2.91달러로 각각 9% 상승한 것으로 나타남.
· 중국-미국 노선은 12월에만 6% 상승한 Kg당 5.12달러를 기록. 다만 12월 마지막 주간 운임 추이는 11월 최고치보다 20%가 하락한 kg당 4.54달러를 기록..
· 여기에 동남아 출발 미국행의 경우 중간 경유지를 통한 이동이 많은 관계로 kg당 4.5달러를 기록해 14% 증가세를 보여줌.
5) 항공사/GSA Event update
(1) 대한항공(KE) 3월 31일 부로 달라스 노선 증편 예정
기존 주 5회에서 DAILY 노선으로 증편 예정이며 1월 4일 부로 예약 가능. 기종 B787-9
ICNDFW KE031 0920/0800 D25 & 0920/0820 D13467, DFWICN KE032 1210/1640+1 DAILY
(2) 에미레이트항공(EK) 2월 19일 부로 인천-두바이 노선 주 화물 공급 45t 확대
2월부터 인천-두바이 노선 주7회에서 주10회로 증편 예정으로 추가 항공편을 통해 45t 화물 공급 확대.
기존 주 7회 항공편 'A380' 기종에 이어 신규 항공편은 매주 월, 수, 금 운항으로 기종은 'B777-300ER' 투입.
(3) 중국남방항공(CZ) 1월 30일 부로 우한-호치민 노선 운항 재개
WUHSGN CZ8317 2305/0135+1 B737-800 DAILY, SGNWUH CZ8318 0235/0730 B737-800 DAILY
top